민화기초 썸네일형 리스트형 (12)기초연습-책거리&화조도(나비와 목련) '책거리'는 '책가도' 라고도 불리운다. 선비들의 서가에서 쓰이는 기물을 그리거나 서재에 장식할 병풍에 많이 그려졌다. 책거리에 쓰이는 소재는 대부분 육면체의 입체 기물이다. 거리감을과 바림 표현을 구상하며 채색을 한다. 책거리는 문양을 표현하는 것이 쉽지않다. 색도 다양하게 쓰인다. 석류알이나 용, 잉어처럼 공이 맣이 들어가므로 인내심을 발휘하거나 기는데 최적이다. 목련은 선비 또는 군자를 상징하고 나비는 기쁨을 상징한다. 목련과 조화를 이루는 화조도를 그리는 것은 민화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다. 호분을 사용하여 꽃들의 거리감을 표현하는 것은 쉽지않다. 먹선으로 꽃들간의 거리감을 충분히 표현하고 담채를 활용하여 분위기를 살리는 연습을 해본다. 음... 그러지 못했다. 그냥 채색에만 집중하는 것만으로.. 더보기 (2)기초채색연습-연화도 붓으로 가는 선이나 강약조절하여 그리는 것은 자신있다. 그러나 물의 농도로 동양화기법을 구현해내는 것은 무지 어렵다. 많이 연습을 해야겠지. 기초채색 입문을 하는 단계에서 연화도의 넓은 연잎을 바림으로 붓질하는 것이 내겐 너무 어려웠다. 두번 째 도전인 그림이다. 연화도는 여러번 색을 입혀나가면서 깊이감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하면 할수록 매력적인데 색을 칠하고 위에 또 입혀 칠하는 것이 재미있다. 수업시간에 역바림이라는걸 했었는데, 바림 표현이 잘 안되어 역바림 하자는 선생님의 대처에 하나 더 배울 수 있었다. 그것을 연습하면서 많이도 써(?)먹었다. 하나 더 깨달은게 있다면? 천천히, 집중하면서 그려야 원하는 선과 색이 나오는다는 사실! 더보기 (1) 기초채색연습-모란도 홍모란고 백모란이 어우러진 밑그림을 그리고 채색화의 기본이 되는 색표현을 위한 기초연습작품이다. 기본기라고 하는데 이게 기본이라니 ㅠㅠ '그라데이션'이라는 용어에 익숙해있는데 민화에서는 '바림'이라고 한다. 물의 농도에 따라 바림이 잘 될때가 있고 잘 안되고 번지거나 색 자체가 사라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민화 강좌 이후 첫 기초도안 작업! 꽃이 쉬울 것 같아 선택했는데.... 쉽지않다^^;;; 하지만,재미와 흥미가 한껏 올라오게 한 그림이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