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W! 시흥 人!

장경창 선생에게 듣는 자염이야기

염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시흥, 천일염 이전에 시흥에는 자염(煮鹽)이 있었다고 한다. 자염은 바닷물을 끓여서 만든 소금이다. 지금의 장현동, 장곡동, 월곶동, 정왕동이 소금 즉, 자염을 만드는 동네였다. 자연 갯벌에 구덩이를 파서 바닷물을 담궈 끓여 만든 것이 자염인데, 소금장사들이 서울에 갖다 팔았다. 어떤 판로로 내다 팔았는지는 민간 향토사학자라 불리우는 민병섭 선생과 장경창 선생이 그때의 기록과 흔적을 수년 째 찾고 있다.


당시 자염을 만들었던 집들은, 장현동 8여호, 장곡동 10여호, 월곶동 20여호, 정왕동 30여호 정도였다자염을 만들 수 있는 조건이 좋았던 동네로 소금 생산으로 인해 부촌으로 불리기도했다고 한다.

 

자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갯벌물이 들어오면 일주일 정도는 물이 들어오지 않아야 한다. 물이 계속 들어오면 자염을 만들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지대가 높고 갯벌이 길게 뻗어있으니 소금을 만들 수 있는 조건이 충족 된 것이 바로 장현, 장곡, 월곶, 정왕이었던 것이다. 유독 이 지역에 염전이 많았던 이유는 500년 역사에서 가장 비가 적게 오기 때문이란다. 자염은 나무를 때야하고 힘이 들어 염전이 생기고 나서부터는 자염 생산을 그만두는 집들이 많아졌다.


농사를 짓고 소금을 구웠던 동네. 400여년 전, ‘장유선생의 시에도 나와 있다. ‘소금 굽는 푸른 연기가 저녁 하늘에 날아간다자염의 역사는 그렇게 오래되었다.

 

이후 일본인들이 들어와 본격적으로 염전을 지었다. 천일염은 일본인들이 들어오면서 생산되었다. 천일염의 역사는 중국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기록되어있다. 중국의 영향을 받아 남쪽에서 먼저 시작했는데,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의 기후를 보고 군자면에 집중적으로 염전을 만들었다고 한다. 주안염전, 남동염전, 소래염전, 군자염전이 있는데, 없어진 순서는 주안, 남동, 군자다. 소래염전은 소래습지생태공원에 일부 남아있다.


당시 군자염전은 그 규모가 매우 컸다. 지금의 정왕동일대가 모두 군자염전이었으니 상상이 되려나. 지역이 풍세가 적고 비가 적은 지역으로 우리나라 기상 관측 기록을 보고 집중적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신사를 숭배하는 일본인들은 소금 생산 기원제를 산사참배단에서 했으니 지금의 옥구공원에 그때의 제단이 그대로 남아있다.

해방이후 일본인들이 물러나고 일본관사가 비어지면서 지역 사람들이 들어가 살았다. 빈집이니 네것 내것이 없었다. 그곳이 지금의 옥구공원이다.